2012년 2월 25일 토요일

소설가 최인호 암투병기(8)


*. 주님, 이틀만 더 남국의 햇빛을 베풀어주소서 (2)

    - from 서울주보(2012년2월18일)  최인호 씀

제 방 탁자 위에는 1987년 여름 영세받을 때 선물로 받은 키 60센티미터 정도의 ‘파티마’ 성모상이 있습니다.
저는 매일 막무가내식 떼 기도를 올릴 때마다 성모상을 두 팔로 껴안고 합장하여 모은 성모님의 손에 머리를 들이댄 공격적인 자세로 묵주기도를 올렸습니다. 어떻게 보면 불경스러운 자세였지만 성모님은 아기 예수를 가슴에 안고 젖을 먹이기도 했을 터이니, 제가 가슴에 얼굴을
묻고 엉엉 운다고 해서 성모님이 저를 매정하게 밀치시 겠습니까.

그러던 어느 날 저는 무슨 자국을 보았습니다. 바탕이 짙은 초콜릿 빛깔인 탁자 위, 내가 기도하는 바로 앞자리위만 하얀 얼룩무늬가 번져 있었습니다. 그것이 무엇인가 살펴보았더니, 제가 흘린 눈물 자국이었습니다. 눈물에 강한 소금기가 있다는 상식은 알고 있었지만 옻칠한 탁자를 탈색시킬 만큼 방울진 눈물 자국이 작은 포도송이처럼 맺혀 있는 모습을 보자, 저는 제 슬픔에 겨워 닥치는 대로 떼를 쓰기 시작하였습니다.
“아이고 주님, 정말 이러시깁니까. 때가 어디 있습니까. 주님의 때는 바로 지금이 아닙니까. 제가 비록 주님을 모시기엔 합당치 않사오나 ‘항아리마다 모두 물을 가득 부어라.’(요한 2,7: 공동번역 성서)라고 이르셨듯이 제 육체의 항아리에 ‘물을 부어라.’라고 한마디만 하시면 제
가 포도주가 될 수 있을 것이 아닙니까. 앙앙 엉엉엉.”

결론적으로 말하면 2010년 10월 27일, 마침내 저는 소설을 쓰기 시작하였습니다. 항암치료로 빠진 손톱에는 약방에서 고무 골무를 사다 끼우고, 빠진 발톱에는 테이프를 칭칭 감고 구역질이 날 때마다 얼음 조각을 씹으면서 미친 듯이 하루에 20에서 30매씩 하루도 빠지지 않고 원고를 썼습니다. 반세기에 가까운 작가생활 동안 누구보다 왕성하게 글을 많이 썼던 저였지만 이렇게 집중하고 이렇게 단숨에 활기 넘쳐 창작을 했던 적은 없었습니다. 누군가 불러주는 내용을 받아쓰는 느낌이었으며 제 손은 자동재봉틀처럼 저절로 작동하고 있었습니다. 그리
하여 12월 26일, 정확히 두 달 만에 1,200매의 전작 장편소설을 완성할 수 있었던 것입니다. 소설의 제목은 ‘낯익은 타인들의 도시’입니다. 작품이 좋고 나쁜 것을 떠나서 성모님은 아드님께 제 기도를 전해주셨고, 주님은 기적을 베풀어주시어 저를 포도주로 만들어주신 것만은 명백한 사실입니다. 제가 쓴 글을 보고 많은 사람들은 이렇게 말하였습니다.
“처음엔 좋은 작품을 쓰다가 나중에는(나이가 들수록) 덜 좋은 것이 나오는 법인데 이 좋은 작품(포도주)이 병중에 나오니 웬일이오.”(요한 2,10 참조: 공동번역 성서)
저는 이미 ‘말씀의 이삭’란에도 두 차례나 글을 쓴 적이 있습니다. 만약 이번에 쓰는 글이 먼젓번 글보다 더 여러분을 거나하게 취하게 한다면 그것은 주님께서 제 떼의 기도에 ‘항복!’하시고 질 좋은 포도주로 만들어주셨기 때문일 것입니다.

독일의 시인 릴케는 「가을날」에서 노래하였습니다.
“주님 때가 왔습니다 / (중략) / 마지막 잎새들이 탐스럽게 무르익도록 명해주시고 / 그들에게 이틀만 더 남국의 햇빛을 베풀어주소서 / 열매들이 무르익도록 재촉해 주시고 / 무거운 포도송이에 마지막 단맛이 스며들게 해주소서…”
자비로운 주님은 제게 이틀만 더 남국의 햇빛을 베풀어주셨습니다. “무거운 포도송이에 마지막 단맛이 스며들게 해주셨습니다.” 그리하여 눈물의 포도송이는 포도주가 되었나이다. 이틀이면 충분하나이다. 우리 모두 서정주의 시 「행진곡」에서처럼 “결국은 조금씩 취해가지고
돌아가는 사람들”이오니 주님, 초대받고 온 저마다의 손님들에게 더 좋은 포도주를 충분히 대접하고 흥겨운 잔칫날을 마무리할 수 있도록, 지금 고통받는 사람들, 지금 슬퍼하는 사람들, 지금 울고 있는 사람들 모두에게 인생의 잔칫날에서 향기로운 포도주가 되어 조금씩 취해
서 “빠알간 불 사르고 재를 남기고” 돌아갈 수 있도록. 주님, 이틀만 더 남국의 햇빛을 허락하소서. 우리를 향한 주님의 첫사랑, 포도주의 첫 기적을 지금 여기서 베풀어주소서. 아멘.
주님, 이틀만 더 남국의 햇빛을 베풀어주소서 (2)

2012년 2월 19일 일요일

[서평]'불씨' - 개혁의 모본을 보여주는 소설

* '불씨' - 개혁의 모본을 보여주는 소설


-도몬 후유지 지음 / 신한종합연구소 옮김 / 신한종합연구소 발행 (1993)

페이스북에서 친구가 소개한 책인데, 궁금하여 도서관에서 빌려서 보게 되었다.
230년전 일본 막부시대, 무사들이 정치하는 시대로 전형적인 봉건시대를 배경으로 하고 있는 소설로 실화를 바탕으로 쓴 소설이다.

이 소설은 빚으로 파산위기에 있는 요네자와번을 17살이라는 어린 나이에 맡게된 하루노리 번주에 대한 이야기이다.  
어린 나이에 파산위기의 번을 개혁하기 위해, 개혁의 목적 번민을 풍요롭게, 방법론으로 사랑과 신뢰라는 큰 명제를 가지고, 기존의 수구파들을 설득시키고, 각종 난관을 거치면서도 포기하지 않고 처음에 시작했던 생각을 변함없이 실천해 나가는 모습이 많은 도전을 주었다.

이러한 끊임없는 백성과 신하들에 대한 사랑과 신뢰의 모습은 현재 우리나라 정치가들이 많이 봤으면 한다. 그리고, 직원을 하나의 부품처럼 여기는 많은 기업가들도 보고 깨달았으면 한다.

이 소설을 보면서, 개혁을 성공으로 이낀 지도자의 리더십은 결코 좋은 아이디어, 정책, 권력이 아니라, 실제 일을 하는 백성, 직원에 대한 끊임없는 진심어린 사랑과 신뢰였음을 보게 되었다.
이러한 사실은 이 소설을 보기 바로 전에 보았던 "대한민국 희망보고서 유한킴벌리"의 사례와도 일맥상통하는 내용으로 요네자와 번주 하루노리가 했던 일들은 지금도 상당히 진보적인 개혁이었다고 생각하며, 230년전 봉건시대에 이러한 사고를 하고 실천했던, 하루노리 번주가 참 대단한 지도자였음을 새삼 느꼈다.

또한 개혁의 지속성을 위해 하루노리 번주는 서른다섯이라는 젊은 나이에 번주의 자리에서 다음 번주에게 물려주고, 개혁이 지속되도록 보이지 않는 곳에서 도움을 주는 그의 모습에서 개인의 명예보다도 진정으로 요네자와번을, 백성을 사랑하는 그의 모습을 엿볼 수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요네자와번은 개혁이 성공되어 현재까지도 그때 시작했던 개혁사업이었던 요네자와의 잉어, 직물, 사사노의 일도 등이 현재까지도 이어지고 있는 것이 아닌가 생각해 본다.

우리나라의 정치가, 기업가 뿐아니라, 좀더 좋은 나라, 기업을 원하는 사람은 모두 이 책 '불씨' 읽어보았으면 합니다.